Python/나도코딩

[Python 파이썬] 나도코딩 코딩강의 따라하기 (기본편) 2장

YoungBok 2021. 6. 20. 18:34
728x90
반응형

본 코딩강의에서 배운 2장 목차는 다음과 같다. (1장은 소개, 환경설정 부분이라서 생략, 밑에 영상 참조)

 

2-1. 숫자 자료형

2-2. 문자열 자료형

2-3. boolean 자료형

2-4. 변수

2-5. 주석

2-6. 퀴즈 #1

 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WiCuklohdY 

출처: 파이썬 코딩 무료 강의 (기본편) - 6시간 뒤면 여러분도 개발자가 될 수 있어요 [나도코딩]

 

2-1. 숫자 자료형

print(5)
print(-10)
print(3.14)
print(1000)
print(5+3)
print(2*8)
print(3*(3+1))
더보기
더보기

[실행결과]

 

5
-10
3.14
1000
8
16
12

 

2-2. 문자열 자료형

print('풍선')
print("나비")
print("ㅋㅋㅋㅋㅋㅋ")
print("ㅋ"*6) # 문자형과 정수를 혼합하여 출력할 수 있음
더보기
더보기

[실행결과]

 

풍선
나비
ㅋㅋㅋㅋㅋㅋ
ㅋㅋㅋㅋㅋㅋ

 

2-3. boolean 자료형

: 참(True) / 거짓(False)를 나타내는 자료형이다.

print(5 > 10) # 거짓(False)
print(5 < 10) # 참(True)
print(True)
print(False)

# not: 부정(반대)를 의미
print(not True) # True의 반대 출력(False)
print(not False) # False의 반대 출력(True)
print(not (5 > 10)) # == print(not False) 이므로 True
더보기
더보기

[실행결과]

 

False
True
True
False

 

False
True
True

 

2-4. 변수

: 값을 저장하는 공간

# 애완동물을 소개해 주세요~
animal = "강아지" # 문자형
name = "연탄이" # 문자형
age = 4 # 정수형
hobby = "산책"
is_adult = age >= 3 # age가 3 이상이면 어른

print("우리집 " + animal + "의 이름은 " + name + "이예요")

# 방법1: 정수형같은 경우 +를 포함한 print문에서 사용되는 경우 str로 감싸줘야함 (정수형-> 문자형으로 바꿔줌)
print(name + "는 " + str(age) +"살이며, " + hobby + "을 아주 좋아해요")

# 방법 2: + 대신 ,로 연결할 수 있는데 ,마다 띄어쓰기 한 칸이 포함되며 정수형을 문자형으로 변환하는 str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
print(name, "는 " , age ,"살이며, " , hobby , "을 아주 좋아해요") 

print(name + "는 어른일까요? " + str(is_adult)) # boolean도 str로 감싸줘야함
더보기
더보기

[실행결과]

 

우리집 강아지의 이름은 연탄이이예요


연탄이는 4살이며, 산책을 아주 좋아해요 <- 1) +로 연결


연탄이 는  4 살이며,  산책 을 아주 좋아해요 <- 2) ,로 연결


연탄이는 어른일까요? True

 

print문안에서 변수와 문자열 연결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.

 

1) 변수와 문자열 사이에 +연결하기: 대신 age, is_adult와 같은 정수형, boolean형과 같은 변수는 str()를 적용하여 문자형으로 바꿔서 사용해야 한다.

 

2) 변수와 문자열 사이에 , 연결하기: 1)과 달리 문자형으로 바꿔줄 필요는 없지만 ,마다 공백이 포함된다.

 

2-5. 주석

# 이렇게 하면 문장이 주석처리 됩니다. <----- 방법 1

''' 이렇게 						<----- 방법 2
하면
여러문장이
주석처리
됩니다'''

# Ctrl + / 단축키 사용 (주석 해제 시 동일한 방법 이용)  <----- 방법 3
# animal = "강아지"
# name = "연탄이" 

 

2-6. 퀴즈 #1 : 변수를 이용하여 다음 문장을 출력하시오.

  • 변수명: station
  • 변수값: "사당", "신도림", "인천공항" 순서대로 입력
  • 출력문장: XX 행 열차가 돌아오고 있습니다.

 

station = "사당" # 차례대로 값 변경
print(station + " 행 열차가 돌아오고 있습니다.") # 방법 1
print(station, "행 열차가 돌아오고 있습니다.") # 방법 2
더보기
더보기

[실행결과]

 

사당 행 열차가 돌아오고 있습니다.
사당 행 열차가 돌아오고 있습니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